문화예술융합연구
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Arts and Culture

Print ISSN 2733-7898

문화예술융합연구

문화예술융합연구(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Arts and Culture, IRAC)는 2020년 6월 30일 창간호(제1권 1호) 발행을 기점으로, 국내외 문화예술 중심의 학제간 융합 연구물이 수록된 학술지를 연 3회 발간해 왔으며, 2024년 한국연구재단 KCI 등재 학술지로 선정됨에 따라 2025년부터는 연간 4회로 증간하여 발행하고 있습니다.

문화예술, 예술교육, 문화관광, 문화콘텐츠, 축제콘텐츠, 문화복지, 문화다양성, 예술치유, 예술철학 등 학제간 융합연구를 추진하고 계신 학계 연구진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.

  • • 투고 마감일 : 매년 1월 30일, 4월 30일, 7월 30일, 10월 30일
  • • 논문 발행일 : 매년 3월 30일, 6월 30일, 9월 30일, 12월 30일
  • • pISSN : 2733-7898
  • • 발행처 : 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(GACE)
Current Issue
Vol.6No.32025
디지털 공연예술 에페메라의 정보 품질 진단 : KOPIS의 사례를 중심으로 Assessing the Information Quality of Digital Performance Ephemera: A Case Study of KOPIS
아리랑을 활용한 공연 사례 분석 <2024 아리랑 세계를 잇다> 공연을 중심으로 Analysis of performance cases utilizing Arirang Focusing on the performance < 2024 Arirang Connecting the World >
예술 놀이 기반 부모교육 참여 경험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요구 탐색 Exploring Parents’ Perceptions and Needs Regarding Their Experiences in Art-Play-Based Parent Education
TPO 기반 창의역량 중심 미술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: 구성주의와 창의성 발달 이론의 통합적 적용 Developing a TPO-Based Art Education Program Model Centered on Creative Competency: An Integrated Application of Constructivism and Creativity Development Theory
대규모 야외공연의 상설화를 위한 지속 가능한 운영모델 : 수상불꽃극 사례를 중심으로 A Sustainable Operational Model for Institutionalizing Large-Scale Outdoor Performances : A Case Study of Water-Based Pyrotheatre
소비 의례와 명품의 문화적 의미 구성에 관한 연구: 샤넬 제품의 소비자 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sumption Rituals and the Construction of Cultural Meaning in Luxury Goods: Focusing on Consumer Experiences of Chanel Products
공공 문화예술지원사업의 순 추천 고객지수와 고객성과 간의 관계: 충북문화재단 사례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t Promoter Score and Customer Outcomes in Public Arts Support: A Case of the Chungbuk Cultural Foundation
게임 <검은 심화: 오공> 속의 전통문화 요소가 Z세대의 문화정체성에 미치는 영향: 몰입 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in the Game Black Myth: Wukong on Generation Z’s Cultural Identity: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Flow Experience
무용교육 비경험자를 위한 창의적 신체활동 교수법의 실천적 탐색: 자문화기술지 기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Exploring Creative Movement Pedagogy for Students Without Dance Education: An Autoethnographic Case Study
무용공연 기획 품질이 팀 소통과 내부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Dance Performance Planning Quality on Team Communication and Internal Performance Outcome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