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화예술융합연구
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Arts and Culture

Print ISSN 2733-7898

문화예술융합연구

문화예술융합연구(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Arts and Culture, IRAC)는 2020년 6월 30일 창간호(제1권 1호) 발행을 기점으로, 국내외 문화예술 중심의 학제간 융합 연구물이 수록된 학술지를 연 3회 발간해 왔으며, 2025년부터는 연간 4회로 증간하여 발간할 예정입니다.

문화예술, 예술교육, 문화관광, 문화콘텐츠, 축제콘텐츠, 문화복지, 문화다양성, 예술치유, 예술철학 등 학제간 융합연구를 추진하고 계신 학계 연구진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.

  • • 투고 마감일 : 매년 1월 30일, 4월 30일, 7월 30일, 10월 30일
  • • 논문 발행일 : 매년 3월 30일, 6월 30일, 9월 30일, 12월 30일
  • • pISSN : 2733-7898
  • • 발행처 : 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(GACE)
Current Issue
Vol.6No.12025
일회성 집단음악치료에서 공개적 자기개방은 내담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?: 생리학적 측정을 통한 탐색적 연구 How does public self-disclosure affect clients in single-session group music therapy? : An exploratory study using physiological measurements
동시대 사이버페미니즘 예술 속 젠더와 몸의 정치학 The Politics of Gender and Body in Contemporary Cyberfeminist Art
ADDIE 교육모델을 활용한 전통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: 중국 설화 '뮬란'을 활용한 교육 뮤지컬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Using the ADDIE Model : Focusing on an Educational Musical Case Based on the Chinese Folktale, Mulan
세계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청소년 신체활동 매뉴얼 개발 : 리빙랩(Living Lab) 방법론을 활용하여 Development of a Youth Physical Activity Manual for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Awareness - Using the Living Lab
해외 창작발레 선행연구 분석 : 한국적 창작발레 정체성 강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전략을 중심으로 Analysis of Prior Studies on Creative Ballet Abroad : Focusing on a Global Competitiveness Strategy through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Korean Creative Ballet
해외 무용교육 정책 및 동향 분석을 통한 한국 학교무용의 개선방향 연구 A Study on Ways to Improve Korean School Dance through Analysis of Overseas Dance Education Policies and Trends
대학무용교육에서 팀기반학습의 효율적인 적용방안 Effective Strategies for Applying Team-Based Learning in University Dance Education
뉴미디어 리터러시 기반 중국 대학 무용학과의 무형문화유산 교육 커리큘럼 제안 A Proposal for Integrating New Media Literacy in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the Dance Departments of Chinese Universities
트랜스젠더 스포츠 선수의 대회 참여에 대한 국내 여론탐구: 데이터 크롤링과 뉴스 댓글을 통해 Transgender Athletes’ Participation in Sports Competitions in South Korea: Exploring Public Opinion through Data Crawling and News Comments
대학생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’ Recreation Specialization